본문 바로가기

조명관련

Resolume Arena 6 구입

 

이글은 원래 2018년 11월 20일자 네이버 블로그 글이였고 붉은색 글은 티스토리로 옮기면서 추가한 글이다.

 

돈도 없는데 오늘 블랙프라이데이를 맞이하여 Resolume Arena 6를 구입했다. 원래는 799유로 인데 50% 할인 가격인 399유로(53만원 좀 안됨)로 구입했다. LED Screen은 너무 비싸 못사지만 대신 WS2813 LED Strip 30m를 구입해서 무대 벽쪽에 붙여볼 예정이다. Resolume를 돌릴 컴퓨터는 집에서 놀고 있는 맥북프로 2017년형을 사용할 예정이다.

 

구입전에 궁금한게 있어서 Facebook Resolume Forum에 문의 해봤더니 맥시멈으로 사용할 수 있는 Art-Net universe는 256000 정도(channel이 아니라 universe다. ㅎㅎ)라하고 600 universe 이상으로 필요할 경우는 다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게 좋다고 하는데 53만원에 600 universe를 사용할 수 있다면 이건 완전 공짜처럼 느껴졌다. 아쉬운점은 아직 Resolume는 sACN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Mapmapper는 Art-Net/sACN 동시에 지원하던데... 잠깐 Madmapper 구입했어야 했다가 Madmapper 가격을 보니 고민이 사라졌다. 일단 구입한거나 잘 사용하자.

 

메뉴얼을 읽어보니 Resolume는 한 라이센스당 Back Up 용으로 포함해서 총 2대 설치할 수 있단다. 약간의 꼼수를 이용하면 한 라이센스로 2대의 Resolume를 "동시에" 돌릴 수도 있다. 재미있는건 5개 라이센스를 한번에 사도 Back Up용은 1개만 추가되서 5개 라이센스를 한번에 사면 설치할 수 있는 PC 대수는 6대다. 그러니 여러개의 라이센스가 필요할 경우 따로 사는게 좋아 보인다.

 

다른 고가의 미디어서버에 비해 Resoume가 좋은 이유는 라이센스만 구입하면 화면출력갯수가 제한이 없다는 것이다. Avolites Ai나 히포같은 미디어 서버의 라이센스는 화면출력 해상도나 갯수에 따라 라이센스 가격이 어마어마 하다. 예를 들어 Avolites Ai의 경우 최상위 라이센스가 천만원정도한다. 미디어 서버 본체 가격이 아닌 인증 USB 하나값이 천만원이라는 소리다. 이에 반해 Resolume는 라이센스만 있으면 PC 하드웨어 성능에 따라 수십개의 고해상도 출력을 낼 수 있다. 실제로 Resolume Facebook Forum에서 몇몇 PC가 올라오는걸 봤는데 대충 4-500만원의 예산으로 고성능 VGA 카드와 blackmagic decklink 8K pro같은 캡쳐카드를 붙여서 대규모 공연장에 사용하고 있었다.

 

라이센스를 적용하는 방법은 Resolume를 실행시키고 라이센스 키를 입력하면 Resolume 서버에 라이센스가 기록된다. 이렇게 Back Up용 까지 설치할 수 있고 Resolume 홈페이지에 로그인 하면 설치된 라이센스 2개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