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명관련

Avolitest Titan을 사용하면서 내가 겪은 위기들...

 

= 기본 Keyprofile에서 Cuelist의 Touch Button을 Go로 설정하면 Playback Window에 있는 Cuelist들이 작동을 하지 않는다. 이거 해결방법 알아내는게 정말 힘들다.

 

= 어찌된일인지 Grand MA2 에 미디입력이 안된다. 즉 미디패드를 눌러도 Grand MA2에서 반응을 안한다. 웃긴건 Grand MA2에서 미디패드로 신호는 간다는 것이다. 나중에 알고 보니 LoopBe 30의 한채널이 뮤트로 되어 있었다. ㅠㅠ

 

= 간만에 Art-Net을 이용해서 Avolites Titan하고 Capture Nexum을 연결하려했는데 잘 연결이 되지 않았다. DMX Setting에 Art-Net을 추가하고 혹시나 DMX king DMX Art-Net Converter까지 연결했는데 작동이 안되었다. 이것저것 해보다가 Art-Net이 아니라 sACN을 추가해야 작동되는 걸 확인했다. 이과정에서 Avolites Titan One에서도 여러 Universe 사용하는 법을 알게되었다. 또한 sACN Trigger를 사용해서 Midi 기기를 사용할때 sACN의 Loop back(쓰레기값들어옴)을 막기위해 sACN Trigger Universe와 DMX out용 Universe를 다르게 설정해야 사용할 수 있기는 한데 sACN Trigger와 DMX용 sACN을 같이 사용하면 페이더 작동이 좀 이상해진다. 이런의미에서 osiMIDI가 다시 의미를 갖을 수 있겠다.

 

= V10.1에서 V11로 업그레이드 한뒤에 이상하게 Cuelist들이 Quick Palette 발동한 뒤에 이상하게(저절로 Color Release 되는) 작동되었다. Log Viewer로 살펴보니 이상한 에러들이 많이 뜬걸 보아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뭔가 잘못된거 같다. 이 에러를 좀 일찍 발견했으면 V10.1에서 좀 더 있었을텐데 V11나오자 마자 바로 업데이트 하고 여러 Cuelist도 작성하고 베이스 Playback들도 많이 바꿔서 어쩔 수 없지 그냥 가기로 했는데 이게 큰 문제인게 새로 파일을 만들어서 모든 Cuelist를 다시 재작성해야하는건지 정말 여러번 고민했다. 그런데 오늘 테스트해보니 Playback을 Autoload했을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이전 Autoload된 Playback은 Kill되는데 이과정에서 이 Cuelist 바로 직전에 Quick Palette이 잘동되면 Autoload된 Playback이 Kill이 되면 Quick Palette으로 Release된다. 이걸 새로운 파일에서 테스트 해본 결과 에러가 아니라 원래 이런거 같다. 

 

= Two Color Spread를 만드는 macro를 작동시킬때 Palette Record Replace설정이 Normal Mode가 아니면 Spread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 Pan saw shape (fade in : 3sec, fade out : 2 sec, fade mode : 1)작동시킨 후에 Circle shape(fade in : 3sec, fade out : 2 sec, fade mode : 1)를 작동시키면 Pan saw shape가 Circle shape에 영향을 주어서 Circle shape가 이상해진다. (반대의 경우는 정상 작동하고...) 이상해지는 경우가 있을때도 있고 없을때도 있어서 해결 방법을 찾기가 더 어려웠는데 동작이 좀 부자연스러워도 Pan saw shape의 fade out을 0sec로 고정하고 Circle shape의 fade in을 0.5 sec로 고정해서 문제를 해결했다.

 

= 조명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미치겠는게 모든걸 정확히 프로그래밍했는데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얼마전에 5개의 Pin 조명의 Dimmer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해 Fade Mode 2로 저장한 페이더가 있었는데 이게 천천히 내릴때는 문제가 없는데 빠르게 내리면 Dimmer가 거의 마지막 부분에서 Fade가 몇초가 작동되서 급격한 수동 암전이 필요할때 날 짜증나게 만들었다. 해결책이라고는 Dimmer 0%의 Cross Fade HTP 체크 뿐이였는데 이걸 사용하면 위의 문제는 해결되는데 암전이 필요할때 해당 Fader를 위로 올려야해서 버스킹때 많이 헷갈려 그냥 저 상태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오늘 우연히 다시 Pin조명 5개를 새로 저장해서 Fader에 Fade Mode 2로 저장하니 제대로 작동된다. ㅠㅠ Grand MA2로 옮기고 싶을때가 한두번이 아니였는데 이번에도 넘기게 되었다.

 

= 위에꺼랑 연결되는 내용인데 sACN으로 Trigger를 작동시켰을때 다른것들은 다 작동 잘되는데 유일하게 Group Master(그룹을 Fader에 저장하면 Scale Master 즉 Group Master가 된다.)가 비이상적인 작동을 한다. 뭐냐면 Group Master가 윗쪽으로는 잘작동하는데 아랫쪽으로는 작동이 잘안된다. 빠르게 내릴때만 가끔 먹히는 에러가 있다. 이게 안되면 뭐가 안좋으냐면 여러대의 Pin조명들을 한꺼번에 조절할 수가 없는것이다. 원래는 드럼, 기타, 베이스, 보컬, 건반 각각을 비추는 Dimmer Fader가 하나씩 있고 이것들을 전체적으로 조절해주는 Group Master가 있으면 노래가 끝날때처럼 전체암전할때 편리한데 이게 안되니깐 나는 꼼수로 드럼, 기타, 베이스,보컬, 건반 전체 Dimmer를 하나의 Fader에 저장하고(Group Master처럼) 개별은 GRBW를 모두 100%로 하고 Mode 2로 각각의 Fader에 저장해서 개별 밝기를 조절할 수 있게 만들었었다. (이 꼼수는 공공일의 모든 Pin 조명이 LED라 가능한것이다. 일반 대파였으면 불가능하다.) 그런데 이 각각의 RGBW 100% 이게 위에 문제처럼 빠르게 내리면 마지막 부분에서 Fade가 걸린다. Fade Mode 2는 페이더의 위치에 따라가야하는데 마지막 부분에 Fade가 걸려서 골치가 아팠는데 아무리 해결방법을 찾으려해도 못찾았는데 글로벌 Release의 마스크가 --c--- 에 3초로 되어 있는것을  --------에 0초로 바꾸었더니 해결되었다. 즉 간단히 말하면 글로벌 Release를 설정하면 나중에 골치아플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와!!! 이게 모든 악의 근원이였다!!!!***

 

= 언제부턴가 수동 Tilt Fader를 반정도 올리고 해당 Fixture들을 선택 후에 Clear를 하면 Fixture들이 수동 Fader값의 맥시멈값으로 이동하는 이상한 현상이 있었는데 Clear 옵션에서 Positon Mask를 해제하니 그러한 현상이 사라졌다. 하지만 Position 값을 Clear하지 못해서 다시 Position Mask를 추가했는데 다시 추가하고 나서부터 위의 현상이 없어졌다. 이게 뭐야...

 

= 키보드 단축키를 사용해서 프로그래밍 하면 시간이 엄청 단축되지만 잘못된 키를 실수로 눌렀을때 알수없는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나의 경우 Cuelist가 Tracking이 먹히지 않는다거나 각 Cue들의 발동이 매우 느리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첫번째 문제는 위에서와 같이 Master Release 셋팅을 설정해서 해결했지만 두번째 경우는 몇몇 Cuelist만 발생해서 해당 Cuelist를 삭제하고 다시 Cuelist를 만들어서 해결했는데 며칠전에 해결책을 발견했다. "Autoload Times"가 *로 나온다고 해서 이게 Target Cue 타이밍을 다 따라가는 게 아니었다. 문제가 되는 Cuelist의 경우 "Autoload Times"는 *로 표시되었는데 실제 각 Autoload Times의 값을 클릭해서 보면 "Fade" 항목에 77 second가 입력되어 있었다. 이걸 수정하니 정상 작동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