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원래 2018년 3월 18일자 네이버 블로그 글이였고 붉은색 글은 티스토리로 옮기면서 추가한 글이다.
MA2에는 기본적으로 2D 시뮬레이터인 Stage View가 있다. 간단한 프로그래밍을 할때 괜찮긴 하지만 고보나 여러 분위기를 자세히 보려면 그래도 3D 시뮬레이터가 필요하다. 그래서 Realizzer 3d나 Capture 둘 중에 하나 고르기로 했는데 Realizzer는 나온지 얼마 안되서 그런가 참고할만한 자료나 메뉴얼이 별로 없어서 Capture를 사용하기로 했다. 레이져 시뮬을 봐도 시뮬레이션 성능자체는 Realizzer가 월등해 보이나 나는 레이져도 안쓰고... 뭐 Capture도 그리 나빠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Capture 데모판은 매 1시간 30분마다 재시동만 하면 무료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서 선택하지 않을 수 없었다. 설정 및 show 파일 저장을 못하는게 큰 제약이기는 하지만 꼼수를 이용하면 그렇게 불편하지는 않다.
지금은 Autohotkey를 이용해서 정식판 Capture를 구입하지 않고 사용중이다.
Capture랑 Onpc MA2랑 연결하려면 Onpc MA2에서 sACN이나 Art-Net으로 Parameter를 보낼 수 있는 MA Hardware가 있어야한다. 한대의 컴퓨터에서 Onpc MA2와 Capture를 돌릴때도 마찬가지로 MA Hardware가 필요하다. 예전에는 MA Hardware 없이 Onpc MA2와 Capture 연결이 가능했었다고 하던데 이젠 MA Hardware가 있어야 타사 3D 비쥬얼라이져를 사용할 수 있다. 인터넷에서 제일 저렴하게 구입가능한 MA Hardware는 MA2 OnPC Node 1k인데 배송비, 부가세, 관세를 포함하면 최소 300만원 이상하니 정말 어마어마한 Grand MA2다. 그래도 Grand MA2랑 같이 딸려오는 MA3D를 이용하면 MA Hardware 없이 3D 비쥬얼라이져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유료 3D 비쥬얼라이져에 비해 기능도 떨어지지 않고 무료라 너무 좋지만 MA3D는 내가 주로 많이 사용하는 Strobe랑 Multi Cell Fixture를 동시에 지원하지 않아서 Capture를 GrandMA2와 같이 사용하기로 했다.

위의 사진처럼 OnPC에서 8대의 1912 LED Fixture의 안쪽 Cell은 검정색으로 외곽 Cel들은 파랑색으로 설정한 후 아래의 그림 처럼 Capture에서 보면 MA3D와 달리 조명기 가운데가 검정색으로 정확히 표현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Strobe이나 Zoom도 정확히 표현된다. 그런데 MA3D는 Multi Cell에 다른 값을 넣게 되면 Strobe이나 Zoom이 작동하지 않는다. 대신 Multi Cell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Strobe나 Zoom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쉽게 이야기하면 스트로브나 멀티셀 중 하나를 골라야하는 것이다.

Grand MA2에 내장 되어 있는 아래의 Stage View는 2D라 당연히 Multi Cell을 표현하지 못한다. 그래서 하얀 줄만 보인다.

무슨 깡인지는 몰라도 MA2 OnPC Node 1k를 구입해 가지고 있어서 이번에 셋팅을 해봤는데 Art-Net 셋팅하는데만도 시간이 엄청 걸렸다. 뭘 설정을 잘못했는지 사용 가능한 Parameter가 계속 0개로 잡힌다. 이것 저것 만지다가 MA-Net으로 Parameter Out 시킨 다음에 Art-Net으로 바꾸니 정상 작동됐다.

기본적인것들만 프로그래밍 해 보았다. Filter는 Dimmer, Position, Color만 간단히 만들었고 Group은 공공일 조명이 1912 led moving, RGBW led par, 150w led spot 이렇게 3종류라 3가지만 만들었다. 1912는 3파트로 된 멀티 셀이라 따로 Group으로 만들려다가 그냥 Matricks를 이용해서 다루기로 했다. Matricks가 처음엔 엄청 헷갈렸는데 좀 써보니 완전 편리하고 좋았다. Random Dimmer Effect를 Macro로 만들어봤는데 Matricks를 이용하니 정말 편리했다. 또 MA Forum에서 발견한 게시물을 참고로 1912용 랜덤 Dimmer Chase를 만드는 간단한 Macro를 만들어 봤다. 그렇게 멋진 Random Dimmer Chase는 아니지만 MaTricks를 Command Line에 넣어서 사용해 봤다는것에 의미를 두었고 이때 사용해본 CircularCopy 명령어를 보니 Avolites Titan 유저로서 Grand MA2가 참 비싼만큼 대단한 콘솔이구나 싶었다.
ClearAll ; Group 1 ; MAtricksInterleave 20 ; MAtricksBlocks 4 ; Next ; At 100 ; Next ; At 0 ; Next ; At 0 ; Next ; At 100 ; Next ; At 0 ; ShuffleSelection ; CircularCopy 4 ; Store /nc
간단한 Predefined Effect 인 Dimmer Sin effect이랑 Circle Effect로 테스트 해보고 Color는 Universe로 간단한 화이트, 레드, 그린, 블루, 블랙만 만들어 보았다.
Group Master로 세 Executor에 조명 종류별로 Dimmer On/Off Cuelist를 만들었다. 진짜 Group Master는 아니고 Dimmer만 저장한 Cuelist다. Group Master는 Executor Function이 다른 기본 Executor보다 적어서 더 많은 Function을 이용하기 위해 그냥 보통 Executor를 Group Master처럼 사용했다. 그 옆 Cuelist는 1912와 150w Spot을 움직여 주는 간단한 Cuelist다. 그리고 집에 있는 Q25 미디 건반 Fader에 Executor Fader를 연결해봤는데 반응 속도가 Titan에서 OsiMidi로 Fader 사용할때보다 훨씬 반응 속도가 빨랐다. 조만간에 나만의 Custom Grand MA2 Console을 만들어봐야 겠다. 구성은 APC mini 2대 + Launch Pad MK2 + 모니터 2대면 될거 같다.

'조명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태원 클럽 조명 프로그래밍과 Code Gobo 200 DMX 콘솔 (0) | 2020.12.16 |
|---|---|
| 갖고 싶은 미디컨트롤러 (0) | 2020.12.15 |
| Grand MA2 첫느낌 (0) | 2020.12.15 |
| 조명 교체 후 문제점 (DMX Noise와 DMX 케이블) (0) | 2020.12.14 |
| 렌탈 조명 Avolites Titan One으로 셋팅하기 (0) | 2020.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