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원래 2018년 3월 16일자 네이버 블로그 글이였고 붉은색 글은 티스토리로 옮기면서 추가한 글이다.
드디어 영문 Grand MA2 메뉴얼을 한번 대충 훌터봤다. 괜히 MA3D 사용한다고 Fixture Builder로 1주일 정도 고생해서 쓸데없이 시간만 더 걸렸다. 감잡기에는 그냥 Stage View로도 충분했는데 말이다. 메뉴얼을 훌터보는 방식은 실제 공공일 조명을 MA2에 패치하고 메뉴얼 내용을 따라하는 식으로 진행했다. 중간 중간 너무 세세하거나 내게 필요하지 않은 내용은 건너뛰었다. 그렇게 메뉴얼을 술술 넘기면서 드는 생각은 Grand MA2로 조명 콘솔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고통스러울까라는 것이였다. 그나마 나는 Avolites Titan으로 조명콘솔 프로그래밍도 좀 해보고 여러 메뉴얼을 읽으면서 기본적인 조명프로그래밍 용어에 익숙했기에 MA2 메뉴얼을 읽고 테스트해보면서 바로 바로 넘어갈 수 있었지만 이런 조명 프로그래밍 배경지식이 없는 사람이라면 독학하는게 정말 힘들것같다. 여기서 웃픈건 가끔 MA2를 배우려는 사람들이 한글로 된 메뉴얼을 찾는데, 그렇게 찾은 한글 MA2 메뉴얼로 독학을 한다면 아마 영문 메뉴얼로 독학하는 것보다 몇배는 더 고통스러울 것이다. 내가 영어를 잘해서 영문 메뉴얼을 보는게 아니다. 잘못된 번역으로 말도 안되는 메뉴얼을 읽는 것보다 사전 찾으며 하나하나 정확하게 해석해서 보는게 몇십배는 빠른 길이기 때문이다. 사실 중요한 몇가지 단어뜻만 정확하게 설명해줘도 쉽게 넘어 갈 수 있는데 이런걸 설명해주는 사람이 거의 없다. 예를 들면 programmer 같은 용어들...
일단 MA2에 대한 첫느낌은 전투비행기 조종 계기판 마냥 너무 복잡하다는 것이다. 처음부터 쉽게 뭘 할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다. Avolites Titan처럼 패치 후 마우스 몇번 클릭으로 조명기를 컨트롤 할 수 있게 하려면 정말 많은 배경지식과 사전작업이 필요하다. 한예로 3D 비쥬얼라이져가 Avolites Titan은 기본으로 내장되어 마우스 클릭 몇번으로 바로 실행되는데 Grand MA2의 경우는 MA3D라는 독립된 프로그램으로 3D 비쥬얼라이져가 분리되어 있어 이 둘을 연결해서 사용해야하는데 이것도 만만치 않다. 이둘을 연결하려면 Artnet이나 sACN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알아야하는데 조명 처음 입문하는 사람들이 과연??
짜증 날 정도로 복잡하지만 한편으로는 대단한게 Avolites Titan을 사용하면서 이런건 왜 안되지? 하는 기능들이 Grand MA2에는 대부분있었고 한 술 더 떠서 내가 생각지도 못한 옵션들이 너무 많았다. 이런거까지 필요할까 할 정도로 너무 사소한것들도 모두 옵션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이렇게 시스템이 너무 복잡해서 그런지 체계적으로 공부하지 않으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일단 어느정도 숙달되면 정말 장인(?)이 될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런데 어느 정도 숙달되는 데만 몇년은 걸릴듯하다. ㅎㅎ)
Avolites Titan은 처음 배울때 쉽고 부족한게 없어 보이는데 조금 깊게들어가면 들어갈수록 시스템이 체계적이지 못해 임시방편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만든 느낌이 들때가 많았는데 Grand MA2는 시스템 전체를 염두에 두고 어떤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만들었다는 느낌이 막연히 들었다. 아직 MA2를 너무 몰라서 그럴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MA2가 너무 어렵기때문 체계적이라고 느꼈을지도 모르겠다. 지금은 기능이 없으면 Titan API를 이용해서 없는 기능을 만들어 쓰고 있어서 그런지 Avolites Titan으로도 부족함이 없다.
제일 놀라웠던건 페이더와 버튼 옵션이 정말 많고 페이더 관련해서 내가 생각도 못했던것들(하나의 Sequence를 두개의 페이더에 묶어서 설정하는거)이 너무 많아 놀라웠다. World와 Filter, Mask 등등... 그리고 메뉴얼이 방대해서 그런가 내가 항상 궁금해했던 조명기본개념을 예시를 들어 설명해 주는것도 너무 좋았다. MIB, Tracking 등등... 메뉴얼 대부분은 Avolites Titan의 메뉴얼 내용과 거의 비슷하지만 옵션과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서 기본적인 개념도 곁들어 설명해주는게 부족한 조명 배경지식을 쌓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또 놀라운건 Macro가 프로그래밍이 가능해 그 기능이 매우 강력하다는 것이다. Avolites Titan의 Macro와는 다르게 변수도 Macro 안에서 사용할 수 있다. 더 놀라운건 Lua Plugin을 사용해서 MA2를 내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다는 것이다. Avolites Titan도 MA2의 Lua 만큼은 아니지만 Titan API를 이용해서 Avolites Titan을 자유자재로 이용할 수 있다.
나중에 시간이 되면 공공일 조명을 MA2로 백업용으로 한번 구성해보고 싶은데 언제쯤이 될지 모르겠다.
'조명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태원 클럽 조명 프로그래밍과 Code Gobo 200 DMX 콘솔 (0) | 2020.12.16 |
---|---|
갖고 싶은 미디컨트롤러 (0) | 2020.12.15 |
조명 교체 후 문제점 (DMX Noise와 DMX 케이블) (0) | 2020.12.14 |
렌탈 조명 Avolites Titan One으로 셋팅하기 (0) | 2020.12.14 |
공공일 클럽 조명 변천사 (0) | 2020.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