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명관련

중국산 Avolites Quartz (쿼츠) 미디기기 연결

대부분(?)의 중국산 Avolites 콘솔의 경우 Titan 버전이 최대 11.4이다. 왜냐하면 Titan v.12 이상을 사용하려면 USB키 형태의 인증키인 Avokey가 필요한데 중국산 콘솔은 avokey로 인증을 못받기때문에  v.12 이상의 Titan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Titan v.12가 특별한 이유는 v.12 부터 콘솔의 USB 포트에 미디기기를 연결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v.12 부터는 별도의 작업없이 콘솔의 USB 포트에 미디기기를 연결한 후 midi trigger를 이용해 미디기기를 콘솔 확장기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소리다. 나의 경우 미디신호를 sACN신호로 바꾸는 midiMonster를 이용해서 Titan과 미디기기를 연결해 사용해 왔기 때문 (sACN trigger는 Titan의 모든 버전에서 공식지원한다. 심지어 중국산 카피 버전도 작동한다.)에 중국산 Avolites 콘솔일지라도 당연히 midiMonster를 통해 미디기기를 쉽게 연결해 사용할 수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막상 중국산 Quartz로 미디연결을 시도해보니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중국산 Avolites Quartzd에는 Titan 11.1이 설치되어 있는데 운영체제는 32비트 Embeded Window다. (Quartz의 경우 v.11.2부터 64비트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다 보니 콘솔자체에 midiMonster를 설치하는게 불가능에 가까웠다.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midiMonster 설치가 32비트 윈도우에서는 안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통상적으로 내가 쓰는 방법인 Rock Pi S에 midiMonster를 설치하고 Quartz와 Rock Pi S를 네트워크로 통신해서 미디기기를 연결해 보려했는데 이 방법 또한 32비트 Window에는 SSH client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Quartz에서 Rock Pi S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어쩔 수 없이 32비트 윈도우용 SSH client를 설치해보려 구글링을 해봤지만 32비트 SSH client는 찾을 수 없었다. 다행히 Embeded Window에는 Telnet client가 설치되어 있어 Rock Pi S에 Telnet 서버를 설치해서 Quartz에서 midimonster로 접속하는 방법으로 가기로 했다.

 

***다음은 Rock Pi S에 Telnet을 설치하는 과정이다.

#apt update                      -> 이거 해야 다음것들이 설치된다.

#apt upgrade

#apt install xinetd

#apt install telnetd

#vim /etc/xinetd.d/telnet   -> 밑에 내용추가

service telnet

{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disable = no

}

#vim /etc/securetty        -> 막줄에 pts/1

--------Rock Pi S가 재부팅 되었을때 Quartz와 바로 붙게하기위해 route table을 고정시킬 내용을 추가한다.-------

--------**** nmcli 를 이용한 방법을 쓰는게 좋아보인다. if-up.d/route 이거 추가안해도 되는듯함 ****---------

#vim /etc/network/if-up.d/route 

   #! /bin/sh

   route add -net 2.1.1.0/24 gw 2.1.1.77 dev eth0

#chmod +x /etc/network/if-up.d/route

 

#systemctl restart inetd

#telnet 2.1.1.6   -> 접속 테스트

 

***1:1 네트워크 연결시 Quartz와 Rock Pi S 네트워크 설정필요

Rock Pi S

#ifconfig eth0 2.1.1.6 netmask 255.255.255.0 up         -->ifconfig로 ip 변경시 재부팅하면 원래대로 복귀된다!!!
#route add default gw 2.1.1.77            -> Quartz ip 주소

======부팅되고 고정되는법=========

#nmcli connection show

#nmcli connection modify "Wired connection 1" ipv4.address 2.1.1.6/24 ipv4.gateway 2.1.1.77 ipv4.method manual

#nmcli connection up "Wired connection 1"

======다시 DHCP 사용하기=========

#nmcli connection modify "Wired connection 1"  ipv4.method auto

 

Quartz

ip 주소 : 2.1.1.77

netmask : 255.255.255.0

gateway : 2.1.1.6

 

***Quartz에서 Rock Pi S로 핑때려서 연결확인 후 Telnet 접속

#ping 2.1.1.6

#telnet 2.1.1.6

 

***root로 ssh 접속하기
 #passwd root  => 먼저 루트의 비밀번호를 정해준다.
 #vim /etc/ssh/sshd_config      에서  PermitRootLogin yes로 설정

                                                         PasswordAuthentication yes 로 설정하세요.

                                                         ChallengeResponseAuthentication no 로 설정하세요.

 #service ssh restart

 

*** midimonster 설치

https://001club.tistory.com/entry/Armbian-Rock-Pi-S%EC%97%90-midimonster-%EC%84%A4%EC%B9%98%ED%95%98%EA%B8%B0

Public Key Error 발생시 : https://miiingo.tistory.com/363 참고

 

 

 

우여곡절끝에 Quartz와 Rock Pi S를 이용해 미디기기를 연결했다. 미디기기에 색을 입히는 것도 테스트 해보니 잘 작동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32비트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Quartz가 얼마나 낙후된 기기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