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늦은 감이 있지만 지금이라도 001Club Avolites Titan Showfile의 중요한 업데이트를 기록해본다.
2022/8/23 : 업데이트 되지 않은 오래된 Cuelist 노래들(796곡)의 Autoload Playback들을 과감하게 모두 삭제했다. 삭제한 이유는 LED Bar 추가로 인해 오래된 Cuelist를 다시 프로그래밍해야하는 경우가 많았었는데 autoload된 이전 playback들 대부분이 재사용되어지는 경우가 거의 없기때문이다. 노래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는 조명색, 핀조명 컨트롤 부재, 촌스러운 FX, 무빙 움직임의 어색함등 참을 수 없는 조명연출로 인해 다시 프로그래밍하는게 마음편할거 같다는 판단도 큰몫을 차지했다. 덧붙여서 43메가 정도의 showfile 크기도 이번 삭제를 통해 많이 줄일 수 있지않을까하는 기대도 있었다. 그리고 기대에 부응하듯 showfile 크기가 32메가 정도로 줄어들었다.
내가 showfile의 크기에 신경쓰는 이유는 이 showfile이 크면 클수록 Avolites Titan이 로드되는 시간이 훨씬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차이라고 해봐야 뭐 몇분 정도 차이인데 그게 그렇게 중요한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게 생각보다 꽤 중요한 경우가 있다. 가끔 공연중에 Titan 에러가 떠서 재부팅을 해야할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의 대관 공연은 한 노래가 끝나고 다른 노래 준비할때 대충 2~5분정도 시간사이에 이 재부팅 문제를 해결한다. 보통 Titan을 다시 재가동 하면 43메가의 showfile로는 2분 정도 걸린다. 그런데 에러로 인한 비정상적인 종료의 경우 Titan 재가동 후 Titan이 복구 작업(3~4분정도 걸림)을 하고 여기에 midimonster로 sACN트리거 이용을 위해 한번 더 종료 후 Titan을 재가동(추가 2분) 해야한다. 쉽게 말해 한번 Titan의 비정상적인 에러가 발생하면 조명을 다시 준비하는데 최소 8~10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것이다. 이 8~10분이 밴드와 밴드 사이의 교체 시간이면 그나마 괜찮은데 한밴드의 노래와 노래 사이에서라면 공연 분위기를 정말 망칠 수 있다. 이런 시간을 단축하는데 showfile의 크기가 매우 중요하다.
암튼 이번 업데이트로 인해 조명준비 작업에 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조명 결과물은 더욱 만족스러울 것 같다.
2022/08/18 : 개별 Song Cuelist의 사전 준비 Macro Cue가 한개에서 두개로 늘었다. 이전에는 c1(first center cell), c2(second center cell), MB(Main Bar), SB(Second Bar) 이렇게만 준비했는데 Avril Lavigne의 What The Hell 곡부터 M(Up,Dn), S(Up,Dn)을 추가했고 이걸 베이스로하는 Chase인 Dn B-Main, Dn B>Main, Up S>M을 만들어 재활용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프로그래밍 시간이 조금 더 줄어들게 될거 같다. 스피드의 경우 60bpm을 ratemaster 100%로 45bpm은 75%, 30bpm은 50%로 맞추면 되고 다행히 Up, Down Chase 간의 싱크가 나빠보이지 않아 다행이다.

2023/01/03 : 기존에 있던 19x12w led wash 8대와 RGBW led가 각각 따로 였던 벽 wash용 led par8를 19x15w led wash 8대와 18x18w 4in1 led par 8대로 교체했다. 벽 wash용 led par의 경우 8채널에서 4채널로 채널 수만 바뀐거라 DMX 주소변경만으로 모든 큐리스트가 잘작동했다. 하지만 led wash의 경우 채널수는 24채널로 같았지만 채널순서가 달라서 정말 오래간만에 exchange 기능을 사용해서 모든 큐리스트를 업데이트했다. exchange 후 예상외로 led wash의 경우 Capture에서 기존 led wash와 Zoom 채널이 거꾸로 된것과 Strobe 범위 지정이 안된것 이외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 그런데 led par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여러문제가 보이기 시작했다. 일단 54x3w 에서 18x18w 출력이 커짐에 따라 벽을 Wash하는 컬러의 정도가 너무 강해서 모든 파렛의 컬러를 재조절해야만 했고 dimming에도 문제가 있었다. 이전 led par의 경우 fading time 0초로 다른 색으로 바뀔때 순간적으로 바뀌었는데 새 led par는 바로 바뀌지 않고 약간의 fading이 있어 신경이 좀 쓰였다. 그래도 방열판이 좋아 기존 led par보다 led 고장 비율도 적을거 같고 4in1 led라 그런지 컬러도 균일하고 예쁘며 광원 각도도 이전보다 훨씬 넓어 모든면에서 만족이다. 다만 dimming fading이 없는 조명기가 있는지 좀 더 알아보고 있다.
2023/05/17 : 조명이 뭔가 심심한거 같아서 조그마한 100와트 짜리 빔을 4대 구입했다. 테스트 후 보기 좋으면 4대를 더 추가 구입해볼 예정이다. 일단 비어있는 DMX 채널이 얼마 없어서 LED Bar의 address를 재조정하여 1 Universe에 130 채널 정도 비워 뒀다.
'조명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조명 and 공연후기 : 밴드 파수꾼 (0) | 2022.08.28 |
|---|---|
| 새로운 미디컨트롤러 앱 최강자 Touch OSC mk2 (0) | 2022.08.18 |
| 조명 and 공연후기 : SyntaPunk (0) | 2022.08.12 |
| 조명 and 공연후기 : 홍익대 소리얼 - 창귀 (0) | 2022.06.28 |
| Avolites Titan Session Connection Failed (0) | 202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