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명관련

최강의 미디컨트롤러 앱 Lemur 이글은 원래 2020년 3월 10일자 네이버 블로그 글이였고 붉은색 글은 티스토리로 옮기면서 추가한 글이다. Lemur는 아이패드나 아이폰(예전엔 안드로이드에서도 다운가능했다는데 지금은 사라진듯하다.)을 최고의 미디기기로 만들 수 있는 최강앱이다. 비슷한 앱으로 TouchOSC가 있는데 기능면에서 Lemur와 비교가 안된다. 저렴한 가격때문에 TouchOSC를 먼저 구입했는데 써보니 제한 기능이 너무 많아 3만원이 조금 넘는 Lemur로 넘어왔다. 결론은 대만족이다. 아쉬운게 Lemur를 만든 회사가 업데이트를 중단해 더 이상의 패치가 없고 Lemur 에디터가 사용하기 좀 불편하다는 점이다. 또 Lemur를 실행시키면 아이패드나 아이폰 전력소모가 많아 Lemur를 사용할때는 전원케이블을 연결해 사용하는게.. 더보기
커스텀 LED 튜브 완성 (Custom Wired Astera Titan Tube) 이글은 원래 2020년 3월 14일자 네이버 블로그 글이였고 붉은색 글은 티스토리로 옮기면서 추가한 글이다. 12v ws2813 (특이하게도 5v가 아닌 12v....)로 1m 짜리 led bar 19개를 드디어 완성했다. (원래는 20개인데 에러 잡는다고 1개는 뿌셔먹었다.) 1미터짜리 알루미늄 프로파일에 ws2813 led strip이 병렬로 2줄씩 들어갔으니 40미터 ws2813 led strip이 사용됐다. 프로파일당 led strip을 1줄 넣는게 훨씬 만들기 수월하나 너무 밝기가 어두워 2줄을 넣었는데 이것이 초보자인 나한테 수많은 문제를 야기했다. 첫번째 문제(문제라기보다는 사고)는 led strip 데이타라인에 볼트라인을 입력해서 leDMX pro4 컨트롤러를 태워먹었고 그걸 살려본다고 며.. 더보기
공공일 Avolites Titan One 미디셋팅 이글은 원래 2018년 6월 14일자 네이버 블로그 글이였고 붉은색 글은 티스토리로 옮기면서 추가한 글이다. 나는 Titan One을 사용하지만 Titan One 인터페이스 대신 Tiger Touch 인터페이스를 쓴다. 여기에 AKAI APC mini 2대, Launch Pad MK2, Programmerable Keyboard 2대를 midi-ox와 함께 사용한다. 예전에는 APC mini 2대랑 Launch Pad MK2를 OsiMIDI를 이용해서 사용했었는데 OsiMIDI의 심각한 랙때문에 지금은 sACN MIDI Converter를 이용해서 Titan One을 미디기기와 같이 사용하고 있다. OsiMIDI를 사용할때보다 더 좋은 점은 Tiger Touch 처럼 20개 Main Playback Fa.. 더보기
정말 미쳐버린 Eric Prydz의 Epic 5.0 하드웨어적으로나 소프트웨어적으로 최고의 비쥬얼이다. 이런 영상을 보면 정신이 멍해지면서 깊은 수렁텅이에 빠져버린다. 어떻게 이런 무대와 비쥬얼을 상상할 수 있는거지?? 그리고 실현해버린다.... 더보기
내게 영향을 준 조명 디자이너(Jefferson Waful) 이글은 원래 2018년 5월 24일자 네이버 블로그 글이였고 붉은색 글은 티스토리로 옮기면서 추가한 글이다. Avolites Titan Show파일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해서 공공일 조명시스템을 Avolites Titan에서 Grand MA2로 옮기려 했던적이 있다. 당시에 Cuelist로 모든 대관곡을 프로그래밍하고 있었는데 이 작업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 이 참에 콘솔을 MA2로 바꾸면서 Busking을 메인으로 하는게 어떨까하고 말이다. 일단 MA2 Busking으로 유튜브를 열심히 검색했는데 그 중에서 쓸만한 녀석이 바로 Jefferson Waful의 이 영상이다. 이 당시 Busking에 관련해서 제일 궁금했던게 화면에 무얼 배치하고 Fader나 Executor에는 뭘 넣느냐였는데 이 영상에서 .. 더보기
Grand MA3 viz-key 간만에 페이스북 Grand MA 포럼에 접속했더니 Grand MA3 viz-key라는게 출시했다는 글이 있었다. 그런데 댓글이 어마 무시하게 많다. 대체 무슨일이?? 일단 이 viz-key의 기능이 뭐냐면 타사 비쥬얼라이져를 Grand MA3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key이다. 엥?? 뭐라고 내가 구입한 Capture나 Vectorworks 같은 비쥬얼라이져를 MA3에 연동하는데 돈을 또 지불해야한다고?? (참고로 viz-key의 가격은 대략 650유로, 1000불 정도인거 같다. 원화로 대충 100만원 정도) 포럼댓글을 보니 다들 MA가 Apple처럼 미쳐간다고 난리고 몇몇은 조명 플랫폼을 옮기겠다고까지 한다. Avolites 포럼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는데 Avokey가 새로 출시되었을때였다. Av.. 더보기
페이스북 조명포럼에서 난리난 감비노의 Childish 이글은 원래 2018년 5월 18일자 네이버 블로그 글이였고 붉은색 글은 티스토리로 옮기면서 추가한 글이다. 얼마전 SNL Live에서 감비노의 Childish 영상을 보고 우와 했던적이 있었는데 페이스북 조명포럼에서도 난리가 났다. 어떻게 저 레이저 이펙트를 만든거냐고 다들 난리다. 나도 처음 감비노 영상을 봤을때는 이게 새로나온 레이저인줄 알았는데 그건아니고 예전부터 있었던 효과였다. 관련 내용을 검색해보니 내가 얼마전에 본 레이저 효과였었다. 대신 이 레이저 효과를 고급스럽게 적용해서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우와~~ 하게 만든것이다. 위의 영상이 사람들이 모두 놀랬던 레이저 효과다. 그런데 재미있는건 이 레이저효과가 처음 나온게 아니라 예전부터 있었던 것이다. 아래 영상을 보면 2:20부터 잠깐동안 .. 더보기
OsiMIDI의 단점 이글은 원래 2018년 5월 18일자 네이버 블로그 글이였고 붉은색 글은 티스토리로 옮기면서 추가한 글이다. OsiMIDI는 Avolites Titan One에 미디기기를 사용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처음엔 99유로가 아까워서 데모버전으로 사용하다가 Auto Hot Key를 이용해서 OsiMIDI를 조작해주는 매크로를 만들어 사용했는데 미디 버튼까지는 잘 작동하는데 미디 Fader 조작에서 막혀 그냥 99유로 결재하고 사용해왔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의 불편한점이 뭐냐면 Palette이나 Playback 윈도우의 Rows, Colums을 수정해서 내가 원하는 배치를 만들면 OsiMIDI가 안먹힌다는 것이다. 미디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 Titan One에 OsiMIDI는 단비같은 존재이기는 하지만 쓰면 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