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iki.radxa.com/RockpiS/dev/otg
1) 위의 링크를 참고로 다른 리눅스 PC에 rkdeveloptool를 만든다.
2) 리눅스 PC에 Rock Pi S를 usb-c타입 케이블로 연결한 뒤 maskrom 모드로 들어가기위해 MASKROM 버튼을 누른채 RESET 버튼을 눌렀다 뗀뒤 MASKROM 버튼을 뗀다. 그 다음 리눅스 PC에서
#lsusb
실행하면 Rockchip 어쩌구 저쩌구 하는 device가 뜨면 일단 성공이다. (만약에 안뜨면 다른 케이블을 사용해봐라. 나의 경우 maskrom 모드로 안들어가져서 시간을 많이 낭비했는데 케이블을 바꾸니 바로 성공...)
#rkdeveloptool ld
실행하면
DevNo=1 Vid=0x2207,Pid=0x330e,LocationID=105 Maskrom
이런게 뜨면 성공이다.
https://wiki.radxa.com/RockpiS/dev/sdnand-install
3) 위의 링크 Step 3을 실행해야하는데 이에 앞서
#wget https://dl.radxa.com/rockpis/images/loader/rk3308_loader_ddr589MHz_uart0_m0_v2.06.136sd.bin
#gzip -d rockpis_debian_buster_server_arm64_20210924_0412-gpt.img.gz
두 파일을 받고 아래의 파일은 압축을 푼다. 아래의 파일은 Step 3에 나와 있는 system.img 로 Rock Pi S에 설치할 이미지 파일 이다.
4) 이미지를 Rock Pi S 쓴다.
#rkdeveloptool wl 0 rockpis_debian_buster_server_arm64_20210924_0412-gpt.img
#rkdeveloptool rd
5) 재부팅을 한다.
6) $sudo su 후 #passwd 로 root 비번 변경
7) ssh root로 로그인 가능하게 하기
#vim /etc/ssh/sshd_config 후 PermitRootLogin yes 로 변경
#service sshd restart
8) Rock Pi S 이름 바꾸기
#vim /etc/hostname
9) 시스템 종료
#shutdown -h now
10) https://001club.tistory.com/76 을 참고해서 따라한다.
11) sftp -oPort=2212 root@ip
12) tar -cvf 001midimonster.tar ./*
13) tar -xvf 001midimonster.tar
'SBC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idiMonster 디버깅 및 BackUP 하기 (0) | 2023.09.18 |
|---|---|
| WOL 핸드폰 앱으로 잘안되던 원격 Windows PC 켜기 (0) | 2022.05.02 |
| ubuntu webdav nginx 500 error (해결할 수 없는 에러) (0) | 2022.04.11 |
| Rock Pi 주요서버 설정 : Samba, Webdav, 네트워크백업, SSH (0) | 2022.03.27 |
| Armbian Rock Pi S에 Plex 서버 설치 (0) | 2022.03.15 |